집들이 housewarming party
houseopening party
상온 room temperature
regular temperature
입덧 morning sickness
pregnancy sick
見蚊拔劍 견문발검
'모기를 보고 칼을 뺀다.'
조그만 일에도 성을 내는 소견 좁은 행동을 뜻함.

감정의 대위법(對位法)

서로 다른 두 가지 이상의 감정을 나란히 위치시키는 표현법
원래 대위법은 음악에서 사용하는 표현 방식으로, '둘 이상의 독립된 선율이나 성부를 동시에 결합시켜 곡을 만드는 복음악(複音樂)의 작곡법'을 의미한다. 그런데 문학에서는 '서로 상반되거나 모순되는 어구를 연결하여 대비의 느낌을 강조하는 동시에, 그 대비와 대립 자체가 또한 하나의 통일을 이루게 하는 수사법'이라는 의미로 사용된다.
예시작품
유리(琉璃)에 차고 슬픈 것이 어른거린다.
- 중략 -
밤에 홀로 유리를 닦는 것은
외로운 황홀한 심사이어니,

-정지용, <유리창>中



참고
'차고 슬픈 것'과 '외롭고 황홀한 심사'에서는 자식을 잃은 슬픔과 자식을 유리창을 통해서라도 만나는 황홀함의 두 가지 감정이 대위를 이루고 있다. 또 '외롭고'와 '황홀한' 역시 의미상 대립적 관계에 있으므로 '외롭고 황홀한'이라는 모순 형용의 표현 역시 감정의 대위법에 해당한다.
'외로운 황홀한 심사'는 외롭고 황홀하다는 것이 서로 모순되는 표현으로 역설법에 해당되기도 한다.